[오래 전 ‘이날’]3월28일 서울시민 5명 중 1명이 “1년 내 이사했다” [기타뉴스]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미운이 작성일20-03-28 00:27 조회20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
1960년부터 2010년까지 10년마다 경향신문의 같은 날 보도를 살펴보는 코너입니다. 매일 업데이트합니다.
■1980년 3월28일 서울시민 5명 중 1명이 “1년 내 이사했다”
정부 규제와 보유세 부담, 경기 침체 우려로 서울 아파트값이 10개월 만에 하락했습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01% 하락해 지난해 6월 첫째 주 이후 처음으로 하락했습니다. 재건축이 0.19% 하락했고 일반 아파트는 0.01% 올랐습니다. 강남3구 집값이 3주 연속 하락했으며 투자 성격이 강한 재건축 아파트값이 하락세를 견인했습니다. 아파트 집값의 변동은 누구에게나 관심사입니다.
서민층은 내집 마련을 위해, 중산층은 더 큰 집으로 재산을 늘리기 위해 좋은 지역의 아파트로 이사를 합니다.
이런 일은 10년 전, 20년 전에도 반복되고 있습니다. 40년 전 오늘 경향신문을 통해 서울 시민들은 어디에 집을 마련해 이사를 다녔는지 보겠습니다.
정부 규제와 보유세 부담, 경기 침체 우려로 서울 아파트값이 10개월 만에 하락했다. 사진은 서울시 강남 송파 아파트 단지의 모습. 김기남 기자
40년 전 서울시민은 811만명 중 자그마치 21.2%에 해당하는 172만명이 이사를 다녔습니다. 이들이 이삿짐을 옮기는데 쓴 비용만 181억원에 이르렀습니다. 이들 가운데 직장이동이나 학업관계 등 ‘이유있는 이사’는 17.2%에 불과하고 대부분이 재산증식이나 부동산 투기를 위해 이삿짐을 싼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시가 당시 전출입자를 토대로 조사한 인구이동 집계결과를 보면 1년 동안 총 811만명의 시민 중 172만명이 전출하고 176만명이 전입했습니다. 인구 100명당 무려 21명 꼴로 이사를 다닌 것입니다.
이같은 결과는 서울시민들이 적어도 5년이내에 한번씩 이사를 다니고 있는 것입니다.
구체적인 내용을 보면 전출자는 강북이 많고 전입자는 강남이 많았습니다. 구(區)별로는 도심지인 종로, 중구, 서대문 등은 이사해 들어오는 사람보다 다른 곳으로 나가는 사람이 훨씬 많은 반면 강남, 강서, 강동, 관악 등 강남의 신흥개발지와 도봉, 은평 등 강북의 변두리 주택가는 새로 들어오는 사람이 많았습니다. 이로 인해 도심공동화 현상도 발생했습니다.
특히 토지 및 아파트 투기의 중심지라고 할 수 있는 강남구의 경우 전입자가 총 인구 31만7588명의 32.2%인 10만2411명으로, 주민의 3분의 1가량이 이사온지 1년 미만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인구에 비해 떠나는 사람이 많은 곳은 중구, 동대문, 강남, 종로 순이고 들어오는 사람이 많은 곳은 강남, 강서, 동대문, 관악 순이었습니다. 안정된 주택가로 자리잡힌 은평과 미개발지인 강동이 이전 전출자가 가장 적었습니다.
이같은 결과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이사를 자주다녀야 집을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이 상식이 돼버린 것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며 “이같은 잦은 이사가 이웃이 없고 공동체 의식이 희박하며 정서가 불안정한 대도시 시민의 속성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이 관계자는 또 “부동산 투기를 억제해 유랑현상을 진정시킬 시책이 국가정책적 차원에서 요청되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김동성 기자 estar@kyunghyang.com
▶ 장도리
1960년부터 2010년까지 10년마다 경향신문의 같은 날 보도를 살펴보는 코너입니다. 매일 업데이트합니다.
■1980년 3월28일 서울시민 5명 중 1명이 “1년 내 이사했다”
정부 규제와 보유세 부담, 경기 침체 우려로 서울 아파트값이 10개월 만에 하락했습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01% 하락해 지난해 6월 첫째 주 이후 처음으로 하락했습니다. 재건축이 0.19% 하락했고 일반 아파트는 0.01% 올랐습니다. 강남3구 집값이 3주 연속 하락했으며 투자 성격이 강한 재건축 아파트값이 하락세를 견인했습니다. 아파트 집값의 변동은 누구에게나 관심사입니다.
서민층은 내집 마련을 위해, 중산층은 더 큰 집으로 재산을 늘리기 위해 좋은 지역의 아파트로 이사를 합니다.
이런 일은 10년 전, 20년 전에도 반복되고 있습니다. 40년 전 오늘 경향신문을 통해 서울 시민들은 어디에 집을 마련해 이사를 다녔는지 보겠습니다.
정부 규제와 보유세 부담, 경기 침체 우려로 서울 아파트값이 10개월 만에 하락했다. 사진은 서울시 강남 송파 아파트 단지의 모습. 김기남 기자
40년 전 서울시민은 811만명 중 자그마치 21.2%에 해당하는 172만명이 이사를 다녔습니다. 이들이 이삿짐을 옮기는데 쓴 비용만 181억원에 이르렀습니다. 이들 가운데 직장이동이나 학업관계 등 ‘이유있는 이사’는 17.2%에 불과하고 대부분이 재산증식이나 부동산 투기를 위해 이삿짐을 싼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시가 당시 전출입자를 토대로 조사한 인구이동 집계결과를 보면 1년 동안 총 811만명의 시민 중 172만명이 전출하고 176만명이 전입했습니다. 인구 100명당 무려 21명 꼴로 이사를 다닌 것입니다.
이같은 결과는 서울시민들이 적어도 5년이내에 한번씩 이사를 다니고 있는 것입니다.
구체적인 내용을 보면 전출자는 강북이 많고 전입자는 강남이 많았습니다. 구(區)별로는 도심지인 종로, 중구, 서대문 등은 이사해 들어오는 사람보다 다른 곳으로 나가는 사람이 훨씬 많은 반면 강남, 강서, 강동, 관악 등 강남의 신흥개발지와 도봉, 은평 등 강북의 변두리 주택가는 새로 들어오는 사람이 많았습니다. 이로 인해 도심공동화 현상도 발생했습니다.
특히 토지 및 아파트 투기의 중심지라고 할 수 있는 강남구의 경우 전입자가 총 인구 31만7588명의 32.2%인 10만2411명으로, 주민의 3분의 1가량이 이사온지 1년 미만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인구에 비해 떠나는 사람이 많은 곳은 중구, 동대문, 강남, 종로 순이고 들어오는 사람이 많은 곳은 강남, 강서, 동대문, 관악 순이었습니다. 안정된 주택가로 자리잡힌 은평과 미개발지인 강동이 이전 전출자가 가장 적었습니다.
이같은 결과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이사를 자주다녀야 집을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이 상식이 돼버린 것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며 “이같은 잦은 이사가 이웃이 없고 공동체 의식이 희박하며 정서가 불안정한 대도시 시민의 속성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이 관계자는 또 “부동산 투기를 억제해 유랑현상을 진정시킬 시책이 국가정책적 차원에서 요청되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김동성 기자 estar@kyunghyang.com
▶ 장도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